정부 지원금 보조금 혜택

서울시 의료급여 1종. 2종 수급권자 유형 자세히 알아보기

복지신문 2025. 8. 12. 11:15

2025년 서울시 의료급여에서 1종·2종 수급권자 유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서울시 장애인 복지. 지원금 한눈에 알아보기

 

"서울시 장애인 복지·지원금 한눈에"

서울 장애인 복지혜택과 지원금 종류 총정리서울시에서는 장애인분들의 생활 안정과 자립을 돕기 위해 다양한 복지혜택과 지원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교통, 긴

01.knews-info.com

서울시 장애인 생계급여 총정리

 

"2025 서울 장애인 생계급여 총정리"

2025년 서울 장애인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총정리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는 생활이 어려운 장애인 가구의 기본 생계를 보장하기 위해 현금으로 지급되는 복지 제도입니다. 서울시에서

01.knews-info.com

서울시 의료급여 총정리

 

"2025 서울시 의료급여 총정리"

2025년 서울시 의료급여 신청요건과 지원내용2025년 서울시 의료급여 제도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의료비 부담을 겪는 시민들이 안정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사회보장 안전망입니다. 1종

01.knews-info.com

 

 

📌 1종 수급권자

1종 수급권자는 의료급여 대상 중에서도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진료비 지원 폭이 가장 넓습니다.
의료비 전액 지원(일부 약제비 등 제외)이 특징입니다.

1. 선정 기준

  •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중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인 가구
  • 조건부 수급자, 시설수급자(장애인거주시설, 요양원 등) 포함
  • 중증질환·희귀질환·결핵환자는 소득기준 완화 가능

2. 지원 범위

  • 입원·외래 진료비 전액 지원 (일부 비급여 항목 제외)
  • 약제비 전액 또는 소액(1,000원~2,000원) 본인부담
  • 치과(틀니, 임플란트), 한방진료, 재활치료 포함
  • 보장구 구입, 희귀난치성 치료비 지원

3. 본인부담금

  • 입원: 0원
  • 외래: 0원 또는 소액(처방약제비 일부)

📌 2종 수급권자

2종 수급권자는 소득이 1종보다 높지만 여전히 의료비 부담이 큰 계층입니다.
입원비 전액 지원, 외래 일부 본인부담 방식입니다.

1. 선정 기준

  • 국민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 수급자 중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40% 이하인 가구
  • 차상위계층 중 의료급여 인정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 긴급복지 또는 특례 수급자로 인정된 경우

2. 지원 범위

  • 입원 진료비 전액 지원
  • 외래 진료비 일부 본인부담(진료과목·병원규모별 차등)
  • 희귀·난치성 질환, 결핵환자, 중증질환자는 본인부담 경감
  • 치과·한방 진료, 보장구 지원 포함

3. 본인부담금

  • 입원: 0원
  • 외래: 의원 1,000원 / 병원 1,500원 / 종합병원 2,000원(일반 기준)
    특례등록자는 본인부담 경감 가능

📌 비교 요약

구분 1종 수급권자 2종 수급권자
소득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중위소득 40% 이하
입원비 전액 지원 전액 지원
외래비 전액 지원 또는 소액 일부 본인부담
약제비 전액 또는 소액 부담 일부 본인부담
대상 생계급여, 시설수급자, 중증질환자 의료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